[용어] 경상수지란?
- Economic/Economic
- 2019. 7. 4. 22:33
★ 수지 = 수입 + 지출
★ 국제수지 = 경상수지 + 자본수지
★ 경상수지란?
상품이나 서비스를 외국에 팔고 사는 거래. 즉,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상거래로 벌어들인
돈과 내어 준 돈의 차액.
★ 자본수지란?
상품이나 서비스로 거래하지 않고, 우리나라의 기업/금융기관 등과 외국의 기업/금융기관 등이 서로 돈을
빌려주거나 빌리고 하는 거래를 통해서 발생하는 수입·지출의 차액.
★ 경상수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.
경상수지 종류 |
내용설명 |
상품수지(무역수지) |
우리나라에서 외국으로 상품을 수출해서 벌어들이는 돈으로 상품을 수입하고 외국에 내 준 돈을 뺀 금액 |
서비스 수지 |
외국과 서비스를 거래한 결과. 벌어들인 금액과 내 준 금액의 차액 → 운수서비스, 여행서비스, 보험서비스, 특허권사용료, 사업서비스, 정부서비스 등 |
소득 수지 | 우리나라 기업 등이 해외 투자를 해서 얻은 이자와 외국에 진 빚에서 생기는 이자의 차액. |
경상 이전 수지 (이전수지) |
상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국제 송금의 수지. 외국인이 국내로 송금한 금액 -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인에게 보내준 금액 = 경상 이전 수지 |
'Economic > Econom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경제] 환율은 왜 변동이 될까? (4) | 2019.07.08 |
---|---|
[경제] 경상수지가 흑자가 된다면? (6) | 2019.07.05 |
[경제] 채권은 무엇인가요? (2) | 2019.07.03 |
[경제]중앙은행은 왜 독립적인가? (0) | 2019.07.01 |
[경제] 은행에서 어떻게 이자를 주는걸까? (0) | 2019.06.29 |
이 글을 공유하기